필리핀 역사를 만들어온 5가지 사건(2)
페이지 정보
글쓴이 :
본문
4. 카비테 반란 Cavite Mutiny
200명의 필리핀 병사들과 노동자들이 카비테 조병창에서 일으킨 일시적 봉기(1872. 1. 20).

스페인은 이 사건을 필리핀 민족주의운동을 탄압하는 구실로 삼았다.
그러나 스페인 식민지 당국의 무자비한 대응은 도리어 민족주의운동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반란 자체는 금방 진압되었지만 반동적인 총독 라파엘 데 이스키에르도 치하의 스페인 식민당국은 이 사건을 확대과장해 이를 정부개혁을 요구하던 필리핀인 탄압을 위한 구실로 활용했다.
무수한 필리핀 지식인들이 체포되었으며 반란자들과 공모했다는 죄로 고발되었다.
간단한 재판이 열린 후에 호세 부르고스, 하신토 사모라, 마리아노 고메스 등 성직자 3명이 공개처형되었다. 이 세 사람은 이후 필리핀 독립운동의 순교자로 상징되었다.
5. 레이테 만 전투 Battle of Leyte Gulf
1944년 10월 23~26일에 벌어져 제2차 세계대전의 흐름을 바꿔놓은 해군·공군전.
이 전투로 일본의 연합함대는 궤멸되고 미국은 필리핀 진공에 성공했으며 연합군은 태평양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 전투는 10월 20일 필리핀 중부의 섬에 대한 미국의 상륙 공격으로 개시되었다.

일본군은 쇼고[捿號] 작전으로 대응했다. 일본의 작전은 미국의 제3함대를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으로부터 북쪽으로 유인하는 한편 3개 군(軍)을 레이테 만에 집결시켜 미 상륙군을 공격하려는 것이었다.
이에 일본의 제1공격군은 북쪽으로부터 시부야 해를 건너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통해 남하하고, 제2공격군과 제3공격군은 남쪽으로부터 민다나오 해를 건너 수리가오 해협을 통해 북상하기로 했다.
일본군이 레이테의 남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미국 제7함대의 잠수함들은 제1공격군을 발견하고 10월 23일 팔라완 서쪽에서 중순양함 2척을 격침했다.
잇따라 시부야 해에서 지상과 공중전이 계속되었고, 미국의 제3함대는 일본의 유인 선단을 추격했다. 10월 25일 마침내 레이테 만 전투의 3대 결전이 거의 동시에 벌어졌다.
수리가오 해협에서는 제7함대 소속의 전함과 순양함들이 제3공격군을 격멸하고 제2공격군을 격퇴했다.
한편 제1공격군은 무방비의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통과하여 사마르 근해에서 제7함대의 항공모함들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지만 미 상륙군의 공격이 예상되는 순간 갑자기 퇴각했다.
북쪽에서는 엥가뇨 곶 근해에서 제3함대의 일부가 일본의 유인용 항공모함들을 격침하고 남은 일부는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공격군을 공격하며 추격했다.
200명의 필리핀 병사들과 노동자들이 카비테 조병창에서 일으킨 일시적 봉기(1872. 1. 20).

스페인은 이 사건을 필리핀 민족주의운동을 탄압하는 구실로 삼았다.
그러나 스페인 식민지 당국의 무자비한 대응은 도리어 민족주의운동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반란 자체는 금방 진압되었지만 반동적인 총독 라파엘 데 이스키에르도 치하의 스페인 식민당국은 이 사건을 확대과장해 이를 정부개혁을 요구하던 필리핀인 탄압을 위한 구실로 활용했다.
무수한 필리핀 지식인들이 체포되었으며 반란자들과 공모했다는 죄로 고발되었다.
간단한 재판이 열린 후에 호세 부르고스, 하신토 사모라, 마리아노 고메스 등 성직자 3명이 공개처형되었다. 이 세 사람은 이후 필리핀 독립운동의 순교자로 상징되었다.
5. 레이테 만 전투 Battle of Leyte Gulf
1944년 10월 23~26일에 벌어져 제2차 세계대전의 흐름을 바꿔놓은 해군·공군전.
이 전투로 일본의 연합함대는 궤멸되고 미국은 필리핀 진공에 성공했으며 연합군은 태평양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 전투는 10월 20일 필리핀 중부의 섬에 대한 미국의 상륙 공격으로 개시되었다.

일본군은 쇼고[捿號] 작전으로 대응했다. 일본의 작전은 미국의 제3함대를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으로부터 북쪽으로 유인하는 한편 3개 군(軍)을 레이테 만에 집결시켜 미 상륙군을 공격하려는 것이었다.
이에 일본의 제1공격군은 북쪽으로부터 시부야 해를 건너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통해 남하하고, 제2공격군과 제3공격군은 남쪽으로부터 민다나오 해를 건너 수리가오 해협을 통해 북상하기로 했다.
일본군이 레이테의 남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미국 제7함대의 잠수함들은 제1공격군을 발견하고 10월 23일 팔라완 서쪽에서 중순양함 2척을 격침했다.
잇따라 시부야 해에서 지상과 공중전이 계속되었고, 미국의 제3함대는 일본의 유인 선단을 추격했다. 10월 25일 마침내 레이테 만 전투의 3대 결전이 거의 동시에 벌어졌다.
수리가오 해협에서는 제7함대 소속의 전함과 순양함들이 제3공격군을 격멸하고 제2공격군을 격퇴했다.
한편 제1공격군은 무방비의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통과하여 사마르 근해에서 제7함대의 항공모함들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지만 미 상륙군의 공격이 예상되는 순간 갑자기 퇴각했다.
북쪽에서는 엥가뇨 곶 근해에서 제3함대의 일부가 일본의 유인용 항공모함들을 격침하고 남은 일부는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공격군을 공격하며 추격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