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관련.............골프채의 종류와 기원
페이지 정보
글쓴이 :![14](https://ftp.magandatour.com/data/member/gicon14.gif)
![](/img/memo.png)
![](/img/search.png)
![](/img/list.png)
본문
골프클럽에 대한 기본 상식수준의 글이 있어서 올려봅니다
누군가 질의 한것에 대해 답변한 내용인데
새로운 것을 많이 알수 있는것 같아 스크렙해 봅니다.....^^
....................................................................
1) 초창기 클럽
골프 클럽의 기원은 양치기 소년들이 휘두르던 단순한 막대기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의 클럽으로 발전해 왔다. 아득한 옛날 일로 이 클럽에 대한 확실한 자료는 없고 다만 막대기를 이용하여 돌을 멀리 보낸다든가 또 어떤 구멍에 넣는다는 정도로 기량을 겨뤘을 것이라는 추론이 있을 뿐이다. ‘막대기설’에 비중을 둔다면 골프가 실시된 장소, 사용된 도구, 또 경기의 내용 등을 종합하여 현재와 비교하여 볼 때 그 원형이 이루어진 곳은 600년전의 스코틀랜드가 가장 유력하다.
초기의 우드 형체와 구조에서 큰 특징의 하나는 우드 클럽의 헤드(head) 타면이 예외없이 얇고 긴 것으로 롱노즈라고 불렀다. 심지어 어떤 것은 클럽 헤드의 힐(heel)에서 헤드의 끝까지 6인치인 것이 있었다. 클럽은 신체조건에 맞게 만들어진 것이 아닌 길고 짧은 것으로 차이를 두었다.
발생시기 클럽 소재는 오얏나무, 살구나무 등 모두 과수목재였다.
공은 나무공을 전제로 생각할 수밖에 없고 샤프트는 길면서도 가늘며, 헤드는 로프트(수직면과 이루는 페이스 각도)없는 평평한 수직 페이스 모양의 것으로 요즈음 클럽보다 배이상 무거워 총중량이 600g대라는 무거운 클럽이었다. 탄력성이 약한 샤프트나 반발력이 없는 나무공과의 세트이니만큼 스윙의 반경을 크게하여 비거리를 내려는 생각으로 클럽의 길이를 길게, 또 쉽게 휘두르기 위하여 로프트가 없는 평평한 것으로 했을 것이다. 가늘고 긴 헤드에서는 자연적으로 공에 닿는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넓은 페이스가 필요하였을 것이다. 헤드의 무게가 무거운 이유는 과수목재가 일반적으로 비중이 무겁고 강도가 떨어지므로 부러지지 않도록 두텁게 굵기가 굵은 나무를 선택했기 때문일 것이다.
클럽으로 명칭이 붙기 시작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는 과수목시대에는 세트의 편성은 3, 4개 정도로 우드가 전부였으며 이 우드는 길이와 로프트만의 차이로 만들어 제작됐다.
아이언 클럽이 나오기 전까지는 목재를 이용한 순수한 우드 소재의 클럽이 골프클럽의 전부였다.
클럽의 역사 가운데서 메이커의 이름이 붙기 시작한 것은 1600년대부터라고 볼 수 있다. 윌리엄·메인·안드레이·딕슨·헨리·밀 같은 사람들의 이름은 전문 메이커로써 나왔다는 증거였다. 딱딱한 나무공에서 부드러운 깃털공이 나오는 시기였으므로 클럽에서도 소재의 변화를 시도하는 계기였다. 샤프트는 과수목에서 물푸레나무등의 재료로 바뀌었는데 여태껏 사용하던 과수목에 비해 물푸레나무는 비중이 가벼우면서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가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벼운 만큼 빨리 휘두를 수도 있어서 길이가 짧아도 공을 멀리 보낼 수 있었다. 골프 클럽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스코틀랜드의 트룬 골프클럽에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1530년대 제작으로 추측되는 6개의 우드와 2개의 아이언이다.
2) 골프클럽의 발달과 과정
클럽의 발달과 그 과정을 보면 골프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골프의 시초를 기록이 남아있는 1400년대로 볼 때 이때부터 1700년대까지가 요람기(과수목 시대), 1800년대를 중흥기(히코리목 시대), 1900년대의 근대화(스틸시대)로 분류할 수가 있다.
19세기 중기까지는 직접 손으로 만든 우드였으며 품질에 있어서는 조잡하고 종류도 6개에 불과했다. 우드 이외에, Track Iron 또는 Rutiron 등은 수레바퀴 자국이나 움푹 파여진 곳에 들어간 볼을 쳐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극히 원시적인 아이언이 사용됐다.
1400년대 무렵은 보통 2~3개의 골프클럽으로 플레이했는데 모두 수제품 이었다. 활이나 화살 등 무기를 만들던 장인들이 정성들여 만든 것이었는데 지금까지의 골프클럽의 발달사를 보면 골프클럽과 무기와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요즘 신소재에 의한 신병기라는 것도 알고 보면 군수산업이나 우주산업에서 파생된 재료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스틸, 불랙, 보론, 그라파이트가 그렇고 티타늄 역시 그렇다. 본격적으로 아이언 샤프트가 개발된 것은 하스켈 볼이 등장하고 난후로 처음에는 그다지 환영을 받지 못했다.
1848년에 페더(Feather)볼에서 수지제의 고형으로 바뀌게 되면서 무겁고 충격력이 강한 구타페르카(Gutta Percha)볼이 등장하게 되어 이때까지의 클럽들은 많은 약점을 들어내고 적지 않은 파손을 가져왔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헤드는 점차 둥글고 두터워졌다. 헤드와 샤프트의 접착부도 현재의 삽입법이 발명되면서 헤드는 감나무, 샤프트는 히코리 나무(호도과)의 강한 재질을 사용했다. 이러한 획기적인 개량에 성공한 것은 근대 클럽메이커의 거장이었던 영국의 로버트 포건(Robert Forgan(1846∼1906))에 의해서다. 클럽의 변천은 볼의 변천과 상관관계를 이루어 개량되면서 현재의 형태로 가까워졌던 것이다.
히코리 샤프트의 등장은 19세기 중반 경으로 1860년에 창설된 전영오픈과 1895년에 창설된 전미 오픈 등 영국과 미국에서 골프경기가 성행하던 시대에 해당한다. 20세기에 들어서면 영국의 해리 바든과 아메리카의 월터 헤이건, 아마선수 보비 존즈 등 전설적인 선수가 출현한다. 당시, 그들이 사용했던 것도 히코리 샤프트의 클럽이다. 히코리 샤프트는 강철처럼 강하고 가벼운 특징이 있다. 물이나 습기에도 강해 변질하거나 뒤틀리지 않았다.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우드 헤드는 둥글고 두터운 것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여러 가지 변형도 있었다. 미국인 알랜 라드가 구멍(코어)이 뚫린 샤프트를 개발하고 나서야 비로소 클럽의 성능은 더욱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아이언 샤프트가 미국골프협회에서 정식으로 공인된 것은 1926년의 일이다.
1925년경에 이르러 미국에서 클럽 제조가 대량생산체제로 바뀌면서 비로소 골프채는 값이 싸지고‘세트’개념을 형성했다. 이 시기에 미국에서 강철샤프트가 개발된 후 성능의 우수성이 확인되면서 클럽의 종류는 더욱 다양해졌다.
독특한 클럽 명칭을 붙였던 것이 일련번호가 붙여져서 통일되었고 무질서하게 사용되던 클럽수도 미국은 1936년, 영국은 3년 뒤인 1939년에 규칙으로 14개 까지 제한했다. 클럽은 끊임없이 발전되어왔으나 미국 골프협회(USGA)와 영국골프협회 즉 R&A에서는 원형보존에 주력하면서 엄격한 통제를 하여 골프클럽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4-09-30 14:24:19 골프 게시판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카페지기님에 의해 2014-10-23 16:41:19 순수필리핀여행기에서 이동 됨]댓글목록
후후후님의 댓글
![2](https://ftp.magandatour.com/data/member/level2-1.gif)
![](/img/memo.png)
![](/img/search.png)
![](/img/list.png)
잘보고 갑니다
산가마니님의 댓글
![13](https://ftp.magandatour.com/data/member/gicon13.gif)
![](/img/memo.png)
![](/img/search.png)
![](/img/list.png)
잘보고 갑니다
kennychun님의 댓글
![12](https://ftp.magandatour.com/data/member/gicon12.gif)
![](/img/memo.png)
![](/img/search.png)
![](/img/list.png)
잘보고 갑니다~~~~~~~~~~~~~